티스토리 뷰
1. 데이터베이스 언어
- SQL: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언어
- 데이터 정의어 DD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
- 데이터 조작어 DML (Data Definition Language)
- 데이터 제어어 DCL (Data Control Language)
2. 데이터베이스 사용자
- 일반 사용자: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를 하는 사람
- 프로그래머: 일반 사용자가 사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
- SQL 사용자: SQL을 사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은 업무를 SQL을 사용하여 처리
- 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: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촐괄하는 사람으로 설계 및 구현 유지보수 등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 등의 제반 업무를 담당
3. DBMS
-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시켜주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
- 종류: 계층형, 망형, 관계형 DBMS
4. 데이터 모델
- 계층 데이터 모델
-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
- 객체 데이터 모델
- 관계 데이터 모델
- 객체-관계 데이터 모델
5.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구조
외부 단계
일반 사용자와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계층
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있을 수 있음
개념 단계
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의미
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의 개념 스키마만 존재
내부 스키마
물리적 저장 장치에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
외부/개념 매핑
외부 스키마의 데이터가 개념 스키마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대응
개념/내부 매핑
개념 스키마의 데이터가 내부 스키마의 물리적 장치 어디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대응
6. 데이터 독립성
논리적 데이터 독립성
- 외부 단계와 개념 단계 사이의 독립성
-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
-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
물리적 데이터 독립성
개념 단계와 내부 단계 사이의 독립성
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개념 스키마에 여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
물맂거 저장 장치를 재구성할 경우에도 개념 스키마나 외부 스키마에 여향 없음
물리적 독립성은 논리적 독립성보다 구현하기 쉬움
'DB&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(0) | 2024.09.10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 시스템 (0) | 2024.09.10 |
최근에 올라온 글